1597년 당시 1년동안 충무공 이순신 장군에게 벌어진 일들 요약
모든 날짜는 음력 기준 날짜입니다.
1597년 2월 26일
왕명을 거부했다는 죄로 삼도수군통제사 직을 삭탈당한 후 한양으로 압송되다.
1597년 4월 1일
출옥 후 백의종군하다.
백의종군의 뜻은 백의(白衣) 즉 흰 옷을 입고 무계급 무보직으로 군인의 책임과 의무를 수행한다는 의미이다.
즉 관직을 삭탈당했음에도 불구하고 군영을 떠나지 않고 군인들이 시키는 일이라면 무엇이라도 했다.
1597년 4월 13일
한양으로 압송된 자신을 보기 위해 어머니께서 배 타고 올라오시다 향년 83세로 사망하시다.
1597년 4월 19일
관원들의 재촉으로 어머니의 장례도 치르지 못한 채 다시 임지로 출발하다.
이때부터 어머니의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는 자책감으로 인하여 난중일기에는 '비통', '통곡'이라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게 된다.
1597년 4월 27일
순천에 도착하자, 도원수 권율이 휘하 군관을 보내어 조문하였다.
1597년 5월 4일
돌아가신 모친의 생신 날이라 일어나자마자 하염없이 통곡하였다.
하늘도 슬퍼했는지 오후에는 하루종일 비가 내렸다.
1597년 5월 6일
꿈에서 돌아가신 두 형님, 희신과 요신이 나타나 이순신을 안타깝게 바라보며 하염없이 통곡하였다.
1597년 7월 15일
이순신을 몰아내고 조선 수군 역사상 가장 거대한 함대를 거느리게 된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이 칠천량 해전에서 아군의 배를 자침 시키고 도망하여 인류 전쟁사에 유례없는 대패를 기록했으며 조선 수군은 일방적으로 일본군에게 학살당하고 궤멸하였다.
[임진왜란50] 칠 천 량 해 전
1597년 7월 18일
칠천량 해전의 대패 소식을 전해 듣고 하염없이 통곡하다가 도원수 권율에게 본인이 직접 연안으로 가서 확인하겠다고 건의하였다.
도원수 권율이 승낙하였다.
1597년 8월 3일
조정에서 선전관이 와서 이순신을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하다.
1597년 8월 21일
하루종일 몸살을 앓고 10번 토하다가 잠도 못 자고 앉아서 밤을 새우다.
23일까지 사흘간 투병하였으며 승선도 하지 못하였다.
1597년 9월 2일
배설이 도망하였다.
배설은 원균이 자침 시킨 판옥선 중 12척을 온전히 보전하여 이순신에게 인계하였지만, 새롭게 건조한 1척의 판옥선을 더해 13척의 배로 133척의 일본군함과 싸우겠다는 이순신의 계획을 듣고 홀로 도망쳤다.
후에 도원수 권율에게 붙잡혀 전시 탈영의 죄를 물어 처형당하였다.
많은 미디어에서 배설은 심한 악역으로 매도되며 배씨의 후손들은 이러한 묘사가 배설 장군의 명예를 훼손하였다며 반발하였는데, 칠천량 해전의 대패 속에서 그가 가까스로 가져온 12척의 판옥선이 없었다면 이순신의 명량대첩 또한 성공하지 못했을 것이다.
칠천량 해전에서 압도적인 군세로도 원균의 병신짓으로 조선 수군이 괴멸하는 것을 직관한 직후 열 배의 적과 마주하는 것은 PTSD가 심하게 올 정도의 스트레스로 다가왔을 것이다.
1597년 9월 11일
홀로 배 위에 앉아서 "세상에 나 같은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라고 신세를 한탄하며 눈물을 흘렸다.
1597년 9월 16일
명량 대첩이 치러졌다.
명량 메인 예고편
[임진왜란55] 명 량 대 첩 (feat.초대와 만찬, 33분순삭ver.)
1597년 9월 25일~26일
몸살과 오한을 앓았다.
1597년 10월 1일
본가 아산이 적의 공격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고 아들 이회를 보내 상황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그 와중에도 아산으로 보낸 아들을 걱정하였다.
1597년 10월 14일
21살이었던 셋째 아들 이면의 전사 소식을 전해 듣다.
1597년 10월 15일
잠을 자지 못했다.
1597년 10월 16일
부하들 앞에서 슬픔을 참다가 결국 노비 강막지의 소금창고로 들어가 통곡하였다.
1597년 10월 17일
향을 피우고 하얀 띠를 두른 후 통곡하였다.
1597년 10월 19일
꿈에서 고향집에서 보낸 노비가 나타나자 죽은 아들 생각에 또다시 통곡하였다.
이날 밤 코피를 한 되 가까이 쏟았다.
1597년 12월 30일
"비통할 따름이다."라는 말로 1597년 정유년의 난중일기가 끝난다.
이순신의 1597년(선조 30년) 세줄 요약
- 파직, 압송, 백의종군, 모친상. 심지어 어머니 장례도 치르지 못하고 떠나야 했다.
- 칠천량 해전으로 철저히 파괴된 조선수군을 재건하여 명량해전을 대승으로 이끌었다.
- 셋째 아들 이면이 사망했다.
이 모든 일이 1년 만에 일어난 일이다.
이로부터 1년 뒤, 1598년(선조 31년) 12월 16일(음력 11월 19일) 벌어진 노량해전의 마지막 전투에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은 사망한다.
[노량: 죽음의 바다] 메인 예고편
[노량개봉특집] 황현필의 노량해전 통합 2021ver.(영화 보기전 필수 시청하세요)
일본에서 사업하면 눈뜨고 코베인다, 라인 야후 사태 요약 총정리
'일본은 부유한 북한 같다'는 영국인의 생각.txt
'세상 모든 것을 리뷰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계 존속과 직계 비속의 차이점, 뜻과 의미 (65) | 2024.01.22 |
---|---|
충무공 이순신에 대한 명나라 장수들의 평가 (116) | 2024.01.21 |
2023년 미국시장 베스트셀링 카 TOP20 (67) | 2024.01.19 |
2024년 부산캠핑박람회 캠페어 일정과 행사 진행 위치 (74) | 2024.01.18 |
일본에서 폭발적인 김종국의 노래 사랑스러워 댄스 챌린지 (76)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