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 모든 것을 리뷰하다

1,400년 전 신라 선덕여왕이 썼다는 전설 속의 보물.jpg

by beautifulkorean 2025. 3. 4.

목차

    반응형

    1,400년 전 신라 선덕여왕이 썼다는 전설 속의 보물.jpg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출토된 수정화주.

    수정화주(水晶火珠).

    수정으로 만들어 진,

    불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가진 신비로운 구슬.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사의

    모전석탑(국보 제30호)에서 발견된

    7세기경(634년 제작 추정)

    신라시대의 수정제 돋보기이다.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2. 신라에서 만든 볼록렌즈, 화주(火珠) 
광학과 관련된 유물은 신라시기 석탑에서도 출토된 바 있어 고대인들의 빛에 대한 지식 과 기술을 살필 수 있다. 신라 선덕여왕 때(634) 창건된 분황사 모전석탑은 1915년 일본인 에 의해 해체, 수리되었는데, 이때 2층과 3층 탑신 사이에서 사리장엄구가 봉납된 석함이 발 견되었다. 여기에는 녹색유리제사리병 조각, 고려시대에 탑을 수리하면서 넣은 것으로 추 정되는 은합, 금동 장신구 조각, 바늘통, 가위, 향유병, 금·은 바늘, 조개, 옥류 및 수정, 상 평오수(常平五銖), 숭녕중보(崇寧重寶) 등의 중국동 전 등이 들어 있었다. 발견된 유물 중 광학과 관련된 수정이 있었다.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출토된 수정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수정은 지름 5.6cm, 두께 1.9cm의 크기이며 볼록 한 렌즈 모양으로 가공된 것이다. 이를 17세기 조선에 서 간행되어 경주의 역사, 지리 정보를 담고 있는 '동 경잡기(東京雜記)'의 화주(火珠)와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 '동경잡기'에는 "분황사 9층탑은 신라의 삼보 (三寶) 중 하나인데, 임진왜란 때 왜적이 탑의 반을 훼

    전설에서 이르길 신라에는

    신라삼기(新羅三奇) 또는

    신라삼보(新羅三寶)라고 불리운

    기이한 보물들이 있었는데,

    그 중 선덕여왕은 태양빛을 받으면 불을 일으키는

    수정구슬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근데 일제시대에

    분황사 모전석탑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신라의 왕족급이 썼던 것으로 추정되는

    여성 용품들을 발견한다.

     

    이때 같이 나온게 이 수정화주이다.

    분황사 자체가 절 이름부터

    선덕여왕과 관계가 깊은 곳이고,

    화주 유물을 분석한 결과 선덕여왕 재위 기간인

    634년에 모전석탑이 처음 완공되던 당시

    함께 봉안된 당대의 물품이라는 사실이

    확실하게 밝혀진 상태다.

     

    화주(火珠)란 불을 일으키는 구슬이란 뜻으로,

    수정빛의 바둑알 모양인데

    햇빛에 갖다 대고 솜을 가까이에 놓으면

    그 솜이 탄다고 전해진다.

    이 화주는 볼록 렌즈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광학회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까지 발견된

    우리나라 최초의 안경이기도 하다.

     

    기록상으로 중국에서는 11세기부터,

    유럽에서는 13세기부터 렌즈를 사용했으며,

    최초의 안경은 1286년 이탈리아의

    피사의 살비노 다르마트(1258~1312)와

    피렌체의 수도자

    알레산드로 다 스피나(1313년 사망)가

    발명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 렌즈는 그보다 500~700여년

    더 앞서 만들어진 대한민국의 렌즈로,

    한국광학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 이게 실물로 남아 존재하는 세계 최초, 인류 최초의 안경 유물인 것 아닌가?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수정화주와 함께 발굴된 유물들로는

    630년대 당시 신라 최고위층의 한국 여성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황금 바늘, 은제 바늘,

    각종 수정 및 유리구슬 장신구, 재봉용 가위 등

    다양한 여성용 위세품들이 함께 발견되었다.

    ??? : 나, 신국의 지배자 선덕여왕은 태양의 힘으로 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신비한 수정구슬을 가지고 있었느니라!
    2018년에 그려져 대구 부인사 숭모전에 안치된 선덕여왕 표준영정. 실제 선덕여왕의 용안에 대해서는 국보 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대한민국의 보물 제198호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일명 남산 감실부처로 불리는 불상이 선덕여왕을 본떠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건국대 김기흥 교수가 선덕여왕의 모습을 본따 만들어졌다고 주장한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출처 : “첨성대, 선덕여왕 꿈 담긴 宇宙木” - 경북일보

    건국대 김기흥 교수 “불교신앙 반영한 것”

    적지에 위치한 첨성대(瞻星臺)는 흔히 알려졌듯이 천문관측대가 아니라 선덕여왕의 꿈과 비원이 담긴 우주우물이라는주장이 제기됐다.
    건국대 김기흥(金基興·사학) 교수는 14일 열린 경주 신라문화동인회 문화재해설행사에서 “첨성대는 여자라서 많은 시비에 시달렸던 선덕여왕이 부처나 남자왕으로 태어나길 염원하며 세운 우주목(宇宙木)이자 현세와 우주를 연결하는 우물”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는 불교에서 우주를 33천(天)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는 도리천 신앙을 반영한 것이며 첨성대 돌단이 기초석과 몸통부, 정자석을 합쳐 31단인데서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대인의 눈으로 보면 첨성대는 31단이 아니라 하늘과 땅을 합쳐 33단으로 모두 33층의 우주구조를 나타낸다”고 해석했다.
    김 교수는 “이처럼 첨성대를 기존의 천문대나 종교적 제단보다 형이상학적 모델로 볼때 의미를 확장할 수 있다”면서 “33천에 사는 신라인과 선덕여왕은 천신(天神)인 제석(帝釋)이 사는 도리천에 살고 있던 셈”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7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경주남산 불곡석불좌상(일명 감실부처)도 신라의 왕즉불(王卽佛) 사상에 따르면 훗날 선덕여왕이 된 덕만공주가 모델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그는 “이 불상은 성골남성의 씨가 말라 덕만공주가 왕위에 오를 상황이 되자 공주의 신성성을 드높이려 진평왕과 지지세력이 의도적으로 조성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첨성대와 남산 불곡석불좌상은 여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국왕이 된한국사상 최초의 여성왕, 선덕여왕과 직결돼 조성됐다고 보인다”고 덧붙였다

    국보 제30호 (1962년 12월 20일 지정), 분황사 모전석탑.

    분황사 모전석탑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로 94-11, 분황사 (구황동)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출토된 수정화주(水晶火珠)를 소장, 전시하고 있는 국립 경주 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주소 : 경북 경주시 일정로 186

    신라 시대 전설 속의 보물, 신라삼기(新羅三奇)는 무엇?

    1. 금척(金尺)은 박혁거세 거서간이 즉위하자 하늘에서 금으로 만든 자를 선물로 내려주었는데 병든 사람을 재면 병이 낫고 죽은 사람을 재면 사람이 다시 살아나는 신비스러운 것이다. 이 소문이 중국의 한나라 형제에게까지 가자 황제는 금자가 탐이나 사신을 보내어 보여줄 것을 청했다. 낭패를 당한 신라에서는 왕과 신하가 의논하여 금자를 땅에 묻고 봉분을 만들고 사신은 금자가 묻혔다는 무덤을 찾아봐서 똑같은 무덤이 많고 뾰죽한 방법이 없어서 그대로 돌아가 버렸다. 그 후 금자가 묻혀있는 곳이라 마을이름도 금척이라 불리고 있다.
    2. 옥적(玉笛)은 신라 제31대 신문왕의 아버지 문무왕을 위해 동해 바닷가에 감은사지를 짓고 난 다음에 해룡이 된 문무왕과, 천신이 되니 김유신의 혼령이 서로 힘을 합쳐 용을 시켜 보낸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었는데, 이것을 만파식적이라고 한다. 경주 관아에서 본관해 오다가 조선 중엽에 잃어 버리는 것을 동경관의 담장 밑을 파다가 우연히 찾아 내었다고 감은 옥적은 세 동강 난 것을 은으로 이었고, 옥피리는 한 쌍을 해두어야 좋다고 해서 그 뒤의 경주 부윤이 황색 옥피리를 만들었다.
    3. 화주(火珠)는 빛깔이 수정과 같고 햇볕을 받아 비추면 솜에 불이 붙었다고 한다. 이 보물은 선덕여왕이 지니고 있던 수정 돋보기태양에서 불씨를 얻고, 그 뒤에 백률사에 보관하였다고 전해진다.

    12개월 근수저 아기의 힘을 본 아동 발달센터 운영자의 댓글

     

    12개월 근수저 아기의 힘을 본 아동 발달센터 운영자의 댓글

    12개월 근수저 아기의 힘을 본 아동 발달센터 운영자의 댓글">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진주(@jinju__x_x)님의 공유 게시물">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이진주(@jinju__x_x)

    cutekorean.tistory.com

    충격적인 2024년 세계 대학 순위 근황
     

    충격적인 2024년 세계 대학 순위 근황

    충격적인 2024년 세계 대학 순위 근황네이처 인용 횟수로 매긴 대학 순위.">">[따라하지 마시오] 전기로 열선을 연결하여 엉따를 직접 만들어 보자!">">제우스가 사생아에게 '여보최고야'라는 이름

    brilliantkorean.tistory.com

    부동산 담보대출 이자 계산기
     

    부동산 담보대출 이자 계산기

    부동산 담보대출 이자 계산기대출 상환 방법원리금 균등상환 :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원금과 이자를 합한 상환금액이 매달 동일합니다.원금 균등상환 : 매달 원금을 동일하게 상환하므로, 이

    luckykorean.tistory.com

    [공포, 충격실화] 현재 일본에서 난리난 미친 의사 만화
     

    [공포, 충격실화] 현재 일본에서 난리난 미친 의사 만화

    [공포, 충격실화] 현재 일본에서 난리난 미친 의사 만화뇌와 척수 등 중요한 부위의 수술과 카테터 치료에서 실패를 반복하는 외과의사의 모습을 실감나게 그려내 화제를 모은 만화'뇌(신경)외

    lovelykorean.tistory.com

    인성갑 아버지의 멋진 가정교육 방법
     

    인성갑 아버지의 멋진 가정교육 방법

    인성갑 아버지의 멋진 가정교육 방법">">[따라하지 마시오] 전기로 열선을 연결하여 엉따를 직접 만들어 보자!">">제우스가 사생아에게 '여보최고야'라는 이름을 지어준 이유' 제우스가 사생아에

    beautifulkorean.tistory.com

    반응형